즐겨찾기

최근게시물

대화
     연구회알림판
     질문답변
     대화창
연구회알림판
HOME > 대화 > 연구회알림판

나이들어 남자에게 필요한것은

운영자 2012-08-22 (수) 09:54 12년전 4819
나이들며 남자에게 필요한것은
 
 
 
 
 
첫째는 마누라요, 둘째는 아내이며, 셋째는 애 엄마이고

넷째는 집사람이며 다섯째는 와이프라는 얘기가있다.


이는 배우자의 존재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풍자한
이야기 겠지만 나이가 들면 또 필요한 것으로 건강, 친구,
돈, 일거리등을 꼽는데 이의가 없다.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는데 그중에 흉금을
터놓고 많은 시간을 보낼려면 아마도 친구와 적당한
일거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어느 정도 경제적인 여유와 건강이 허용되어도

함께 할수있는 친구와 소일거리가 없다면 사는게
무미해 지기때문이다.
그중 우리에게 필요한 친구에 대하여 생각해본다.

친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친구들은
학창시절에 이루어지는데 학창시절 가깝게 지내던 친구가
많아도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하나 둘씩 멀어져 노년이
되면 얼마 남지 않는다.
사회 생활을하며 이루어진 친구들은 그 때 뿐으로
이직을 하고 나면 평생 친구로 남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
특정한 목적으로 많은 인맥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순수성이 결여되어 이 역시 오래 지속되지는 못한다.
어린시절의 친구들이야 말로 가장 늦게까지
소중하게 남는 경우가 많다.

친구와 친구의 관계가 계속 유지되기 위해서는
우선 자주 만날수 있어야 한다. 지난날 가까운 친구였다
하여도 이민을 갔다든가 하는등의 이유로 오랜 기간
만나지 못하면 자연히 멀어지게 마련이며, 그런 친구는
아무리 많아도 노년에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


친구는 다음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수있다.

첫째, "꽃과 같은 친구"로서 꽃이 예쁠 때는 찬사를
아끼지 않으나 지고나면 돌아보지 않듯 자기 좋을
때만 찾아오는 친구를 말하며...


둘째, "저울과 같은 친구"인데 이익이 있는지 없는
지를 따져 이익이 큰 쪽으로만 움직이는 약간은
이기적인 친구라 할수있고...

셋째, "산과같은 묵직한 친구"로써 항상 변함없이
편안하고 남의 말에 흔들리지 않으며 마음을
든든하게 해주는 친구이며...

넷째, "땅과 같은 친구"로 땅은 뭇 생명의 싹을 틔워
주고 길러내며 조건없이 은혜를 베풀어 주듯,
한결같은 마음으로 대해주는 친구를 말한다.

나에게는 산과같은 땅과 같은 친구가 과연
몇 명이나 있으며 나의 친구들은 나를 어떤 유형의
친구로 분류할까 생각해 보니

그저 부끄럽다는 생각만 드는것은 아무래도
내가 지난 삶을 잘 살았다고 자신있게 말 하기가
어렵다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 남은 인생을 내가 친구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기위해 변함없는 노력을 지금 보다 더
많이 하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노년에는 내가 어떤 친구와 어울리느냐에
따라 내 나머지 인생이 달라질수가 있다.

나의 노년을 함께하려면 어떤 친구가 좋을까?

첫째, 유머감각이 풍부하고 성격이 낙천적인
친구면 좋겠다. 긍정적인 친구와 어울려야 밝고
명랑한 생활을 할수있기 때문이다.

둘째, 취미가 같거나 취미가 다양한 친구다.
서로의 취미가 같아야만 자주 어울릴수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언제든지 전화하거나 만날수 있는 친구이다.
마음을 털어 놓거나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눌수 있는
친구는 심신적으로 편안해 지기 때문이다.

넷째, 정이 많고 잔잔한 재주가 있는 친구이다.
잔 재주가있는 친구와 어울려 새로운 취미활동 등을
쉽게 익히고 배워 생활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누구나 아름다운 친구로 계속 남고 싶다면
서로가 서로에게 아무것도 바라는 것이 없어야 한다.
어쩌다 나를 모질게 떠나 간다해도 그를 미워하거나
원망해서도 안된다. 그냥 좋은 기억으로만
남아 있으면 되는것이다.

인생에 주어진 한정시간을 의미없이 고달푸게
살다 가는것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친구와 함께
오손도손 즐겁고 보람있는 시간들을 만들면서 멀리
간다면 더욱 멋진 인생여정이 되지 않겠는가



" target=emptyframe>


" target=emptyfram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사)단군朝鮮연구회 경기도 지부, 법인 등록 완료
운영자 11-25 0 11043
운영자 11-25 0 11043
194 박정진(문화인류학박사)의 ‘단군신화의 쟁점’강의를 듣고.
운영자 02-24 0 984
운영자 02-24 0 984
193 저 출산, 노령화, 고독사 의 문제해결 방안
운영자 01-25 0 908
운영자 01-25 0 908
192 안산 3·1운동 기념탑 준공식을 다녀와서...
운영자 12-30 0 918
운영자 12-30 0 918
191 우리민족의 사상
운영자 12-10 0 943
운영자 12-10 0 943
190 도교(道敎)와 팔학사(八學士)
운영자 10-11 0 1227
운영자 10-11 0 1227
189 윤석열의 국민의 시대
운영자 10-11 0 946
운영자 10-11 0 946
188 ‘가칭’ 아름다운 사람들의 모임
운영자 09-16 0 1016
운영자 09-16 0 1016
187 박경원 장군님 1주년
운영자 08-24 0 968
운영자 08-24 0 968
186 ‘상생월드 센터 착공 대천제(大天祭)거행’
운영자 06-16 0 1226
운영자 06-16 0 1226
185 창세기와 단군朝鮮
운영자 06-09 0 1193
운영자 06-09 0 1193
184 강의를 마치고...
운영자 05-15 0 1125
운영자 05-15 0 1125
183 강좌안내
운영자 05-07 0 1139
운영자 05-07 0 1139
182 '종교 평화 위원회'를 '근본 뿌리 교육청'…
운영자 03-16 0 1112
운영자 03-16 0 1112
181 영국 학계에서 공개하는 한국 고대사
운영자 03-12 0 1329
운영자 03-12 0 1329
180 역사로 보는 통합과 상생의 세상이 되려면...
운영자 03-11 0 1150
운영자 03-11 0 1150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단군朝鮮연구회 소개 이용약관 개인 정보 취급방침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사이트맵

찾아오시는 길

Copyright ⓒ 2012 단군朝鮮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 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53-1 서교타워 704호